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팁 ☆+*…

[생활] 네 번째와 새끼 손가락 아프다면, ‘팔꿈치터널증후군’ 의심

팔꿈치와 손가락이 함께 아픈 경우는 엘보나 손목터널증후군이 아니라 팔꿈치터널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다른 손이나 팔 질환과 증상이 비슷해 치료가 늦어질 우려가 있는데, 치료가 늦어지면 수술이 불가피한 지경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팔꿈치에 전기가 온 듯 찌릿찌릿 저리면서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 손가락이 아프면 팔꿈치터널증후군을 의심하고 즉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테니스엘보, 골프엘보와 혼동되는 ‘팔꿈치터널증후군’

집안일을 많이 하는 주부나 팔을 많이 쓰는 종목의 운동 선수, PC 작업을 오래 하는 사람 등은 한번쯤 팔꿈치 통증을 경험하게 된다. 팔꿈치가 아프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테니스엘보나 골프엘보를 떠올린다.

실제 통증이 팔꿈치 바깥족에 있으면 테니스엘보, 안쪽에 있으면 골프엘보를 의심할 수 있다. 그런데 팔꿈치가 아프면서도 두 가지 질환이 아닌 경우가 있다. 만약 팔꿈치가 아픈 동시에 손가락에도 통증이 있다면 팔꿈치터널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팔꿈치에는 힘줄, 신경 등이 지나는 팔꿈치터널(주관절터널)이 있다. 팔꿈치터널 안으로는 척골신경도 지나는데, 어떠한 원인으로 팔꿈치터널이 좁아져 척골신경이 압박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바로 팔꿈치터널증후군이다.

팔꿈치터널에 의해 척골신경이 눌리면 척골신경이 지배하는 영역을 따라 증상이 생긴다. 척골신경은 어깨에서부터 팔꿈치를 지나 네 번째 손가락과 새끼손가락으로 흐르는 신경이므로 팔꿈치터널에서 눌리면 팔꿈치와 아래팔의 안쪽, 약지와 소지에 통증이나 저림이 나타난다.

고도일병원 고도일 원장은 “팔꿈치터널은 해부학적으로 신경이 눌리기 쉬운 구조여서 다양한 요인으로 질환이 생길 수 있고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많다”며 “팔꿈치를 많이 써서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지만 터널 근처의 골절 또는 물혹, 당뇨성신경병증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팔꿈치터널증후군과 테니스엘보, 골프엘보를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은 손가락과 손목 통증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팔꿈치를 구부리고 두 주먹을 귀 가까이에 댄 자세를 1분 정도 유지했을 때 약지와 소지에 손저림 증상이 생기거나 심해지면 팔꿈치터널증후군으로 볼 수 있다.

테니스엘보와 골프엘보는 팔꿈치 안팎 근육이 시작되는 부위인 기시부가 손상돼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손목을 움직여 구분할 수 있다. 팔꿈치 바깥쪽 근육은 손목을 펴는 동작에 관여하다 보니 테니스엘보는 손목을 뒤로 꺾을 때 주로 아프다. 팔꿈치 안쪽 근육은 손목을 구부리는 데 관여해 골프엘보는 손목을 구부릴 때 통증이 심하다.

◇엄지 검지 중지 약지 아프면 손목터널증후군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손목터널증후군과도 비슷해 오인할 우려가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손목터널(수근관)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눌려 손목과 손가락에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손가락 중 약지와 소지가 주로 아픈 반편 손목터널증후군 엄지 검지 중지 약지가 아픈 것이 특징이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팔꿈치를 오래 굽히고 있거나 책상이나 바닥에 팔꿈치를 누른 채 기대는 동작 등 팔꿈치에 무리가 가는 동작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팔베개나 팔에 머리를 기대고 엎드려 자는 습관도 좋지 않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초기에는 이런 동작을 피하기만 해도 호전된다. 약물이나 물리치료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태가 심한 경우에는 척골신경의 경로를 바꾸는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고도일병원 관절센터 원종원 원장은 “팔꿈치터널증후군은 손 저림, 통증, 마비 증상으로 인해 팔꿈치 이상을 의심하지 못하거나 손목터널증후군 등 다른 질환과헷갈릴 수 있다”며 “증상과 자가진단만으로는 여러 수지 질환을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